강아지의 사료 급여량에 대해 많은 보호자 분들이 궁금해하시는데요. 우리 강아지가 너무 안 먹거나 혹은 다이어트가 필요한데 얼마나 급여해야 적절한지 감을 못 잡으시는 거죠. 이처럼 얼마큼의 적정량으로 급여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느끼시는 분들이 많기에 오늘은 강아지의 하루 필요 칼로리를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1일 사료 급여량을 알기 위해서는 기초 대사량과 활동지수 그리고 1일 에너지 요구량을 알아야 합니다.

1. 강아지의 기초 대사량
먼저, 강아지의 기초 대사량을 알아야 합니다. 기초 대사량은 강아지가 최소한으로 필요로 하는 에너지 양으로, 혈액 순환이나 호흡, 신진대사 등의 기본 생체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입니다. 이는 강아지의 활동량, 체중, 나이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강아지에 맞게 계산해야 합니다.

기초 대사량은 " 70 * 현재체중의 0.75제곱 "으로 계산할 수 있는데요. 이 공식을 이용하면 쉽게 기초 대사량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3kg 강아지라면 기초 대사량은 약 160칼로리 정도가 됩니다.
이렇게 기초 대사량을 알고 나면, 강아지의 활동량과 특수한 상황(다이어트 등)을 고려하여 식사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식사량은 강아지의 상태와 건강상태 등을 알아봐야 하므로, 식사량 조절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수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의 식사량은 강아지의 기초 대사량과 활동량, 상태에 따라 다르므로 개별적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수의사와 상담하여 강아지에게 적절한 식사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강아지의 상태 활동지수에 따른 1일 에너지 요구량
기초대사량을 알아봤다면 이번엔 활동 지수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활동 지수는 우리의 일상 활동 수준에 따라 에너지 요구량을 조정하는 지표입니다. 중성화 전후나 체중 감량, 체중 증량 등에 따라 활동 지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중성화 전 | 1.6 |
중성화 후 | 1.8 |
체중감량 | 1.0 |
체중증량 | 1.2 ~ 1.7 |
기본활동 | 3 |
가벼운 활동 | 2 |
격렬한 활동 | 4 |
임신 초기 | 1.8 |
임산 후기 | 3 |
수유기 | 4 ~ 6 |
2~4개월 | 3 |
12개월 | 2 |

이때, 기초 대사량과 활동 지수를 곱하여 1일 에너지 요구량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만약 3kg의 강아지가 체중 감량이 필요한 경우라면 활동 지수는 '1'로 가정하겠습니다. 기초 대사량이 160칼로리이므로, 활동 지수 1을 곱하면 1일 에너지 요구량 즉 하루 필요한 칼로리는 160칼로리가 됩니다.
3. 강아지의 1일 사료 급여량
이제 마지막으로 1일 사료 급여량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사료를 확인하면 1kg당 칼로리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강아지의 1일 적정 섭취량은 1일 에너지 요구량울 사료의 1kg 당 칼로리로 나눈 후 1000을 곱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이어트가 필요한 우리 강아지의 3kg의 하루 필요 칼로리는 160칼로리입니다. 먹고 있는 사료의 1kg 당 칼로리가 4000이라면, 강아지는 하루에 약 40g의 사료를 섭취해야 합니다.

4. 강아지 사료 급여횟수
강아지의 사료 급여 횟수는 강아지의 나이, 크기, 활동 수준,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보통은 하루에 2~3회로 나누어 급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1) 성견 강아지 (12개월 이상)
보통 성견 강아지는 하루에 2회에 나누어 사료를 급여합니다. 적절한 양의 사료를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성견 강아지 (6개월 ~ 12개월)
이 연령대의 강아지는 아직 성장기에 있으므로 하루에 2~3회로 나누어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침, 점심, 저녁으로 나누어 급여하면 좋습니다.
3) 성견 강아지 (6개월 미만)
이 연령대의 강아지는 하루에 3~4회로 나누어 사료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린 강아지는 소량을 자주 먹는 것이 좋습니다.
4) 고령 강아지
고령이 되면 소화기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하루에 2회로 나누어 급여하되, 수의사의 조언에 따라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5) 크기에 따른 차이
대형견보다 소형견이 더 빠른 소화력을 가지므로 대형견보다는 소량을 자주 급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강아지의 섭취량은 나이, 활동량, 기저질환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우리 강아지가 건강하다는 전제의 계산법을 사용했으므로, 만약 강아지가 나이가 많거나 중대 기절 지환이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수의사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수의사의 전문적인 조언을 듣고 강아지에게 적합한 올바른 섭취량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about do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려견의 행동으로 보는 기분 상태 (0) | 2024.03.13 |
---|---|
강아지 똥으로 보는 건강 상태 (0) | 2024.03.13 |
말티즈의 작고 귀여운 외모와 사랑스러운 성격 특징 (0) | 2024.03.07 |
프렌치불독의 작고 귀여운 외모와 사랑스러운 성격 그리고 주의사항 (0) | 2024.03.06 |
시베리안 허스키의 독특한 외모와 활발한 성격 (0) | 2024.03.05 |